키트루다 + 갑상선기능저하증 환자 = 내분비계 이상반응 감시 필요
키트루다는 면역 관련 이상반응(immune-related adverse events, irAEs) 중 내분비계 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며,
기저 질환이 있는 환자(예: 갑상선질환자)**의 경우 그 위험이 더 높다고 합니다.
저는 2010년 경부터 현재까지 갑상선 저하증으로 신지로이드를 복용 중입니다.
항암을 하면서 갑상선 저하증 수치를 꾸준히 모니터링 하면서 상태에 따라 약의 수치를 다르게 적용하고 있습니다.
다행이 키트루다+ 항암제 사용을 하면서 심각한 내분비계 이상반응은 없었어요.
하지만 항암 후 생기는 여러가지 부작용 중에
편평태선 구내염과 부종과 함께 체중이 증가, 강제로 진행된 이른 갱년기 증상이 찾아왔습니다.
그외 협심증 증상도 잠시 생겼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완화되었습니다.
1. 주요 모니터링 대상 내분비계 이상반응
내분비계 부작용설명모니터링 항목관련 증상
✅ 갑상선 기능 이상 | 이미 갑상선기능저하증 환자라면, 악화 혹은 기능 항진 전환 가능성 | TSH, Free T4, Free T3 | 피로, 체중 증가, 추위 민감성 or 불면, 체중 감소 |
✅ 부신기능저하증 (Primary/Secondary) | 키트루다는 부신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음 | AM Cortisol, ACTH, 전해질 (Na/K) | 저혈압, 피로, 저혈당 |
✅ 당뇨병 (1형) | 자가면역성 파괴로 갑작스런 제1형 당뇨 발현 가능성 | 공복 혈당, HbA1c, C-peptide | 다뇨, 체중 감소, 케톤산증 위험 |
✅ 뇌하수체염 (Hypophysitis) | 드물지만 심각한 부작용. 뇌하수체 염증 → 다기관 내분비 기능저하 | ACTH, LH, FSH, Prolactin, MRI 필요시 | 두통, 시야 흐림, 무기력, 성욕 저하 |
2. 기존 갑상선기능저하증 환자의 경우 고려할 점
항목고려 사항
기존 치료 | 신지로이즈등의 약을복용 중이라면, 용량 조정 여부 주기적으로 확인 |
감시 빈도 | 매 3주 ~ 6주 간격으로 TSH, Free T4 검사 권장 (특히 투여 초기 3개월 내 이상반응 빈번) |
전환 가능성 | 저하증 → 항진증 → 저하증의 패턴도 있음 (자기면역 파괴 진행 경로상) |
약물 상호작용 | 키트루다는 대사효소를 유의미하게 억제하진 않지만, 면역반응 증폭 시 갑상선에 간접적 영향 가능 |
참고 관련기사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24101102000
키트루다가 '꿈의 항암제'? '자가면역질환자'는 주의해야 [이게뭐약]
아스텔라스 '파드셉', MSD '키트루다' 병용요법, 유럽서 요로상피암 1차 치료제로 승인
m.health.chosun.com
반응형